라벨이 일본취업인 게시물 표시

Windows의 기본 VPN설정으로 Netplix접속시 주의사항

목적 외국에서 한국 Nexplix를 보고 싶다. 하지만 유료 VPN은 별로 사용하고 싶지 않다. 수시로 접속 거부를 당하면서 요금을 지불하고 싶지는 않다. 해결책 부모님 댁에 VPN서버를 지원하는 무선공유기를 한대 설치해 드리고 나는 외국에서 VPN으로 접속하여 Nexplix를 감상한다! 상황 공유기에 설정한 VPN에 iPad, Macbook으로 접속하면 문제 없이 한국 Netplix로 접속되는것을 확인했다. Windows11에서는 기본 VPN으로 iptime의 VPN에 접속하면 일본 Netplix로 접속 된다. 원인 처음에는 VPN의 Split Tunneling 문제가 아닐까 싶었다. Windows의 VPN설정에서는 Split Tunneling설정이 보이지 않았으므로 Power Shell에서 확인해 보았지만 Split Tunneling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원인은 DNS서버였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MacBook에서는 VPN접속시, DNS서버도 VPN서버의 DNS가 자동으로 설정되었는데 Windows11에서는 DNS서버가 변경되지 않아 한국 지역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 Solution Windows11의 VPN접속 설정에서 접속시의 DNS서버를 한국의 공유기 IP로 지정을 해주었다. 그리고 IPv6이용설정을 해제하여 IPv4만 이용하도록 설정하니 문제 없이 접속되었다. 다음 문제 미니PC를 한대 구매하여 모든 설정을 마쳤지만 매번 키보드/마우스로 조작하는게 귀찮아 Remote Desktop으로 접속하는 것을 생각했다. 미니PC에 접속할때는 iPad를 이용할 계획인데 현재 찾아본 바로는 Console접속을 지원하는 Application이 없는 듯 하다. RemoteDesktop으로 접속하면 현재 TV에 연결해 놓은 세션은 꺼져버리니 Console로 접속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TeamView를 이용하니 어느정도 문제가 해결되긴 했지만 여기저기 조그마한 문제점들이 있어 고민중.

일본 취업에 대한 단상

일본취업이 결정되어 트렁크와 배낭만 달랑 들고 신오오쿠보로 들어온 날로부터 거의 20년이 다되어 간다. 어쩔 수 없이 룸쉐어를 해야 했던 밤마다 친구들 불러와 소란 떨던 그 싸가지 없던 유학생 놈들은 어떻게 되었을려나. 번듯한 회사에 계약사원으로 취업되어 실무보다는 벤더컨트롤을 더 많이 하던 업무가 싫어, 1년 반만에 그만두고 SES(System Engineering Service) 업계로 뛰어들어 그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인력파견 업체에서 근무하게 되었다. 원하던대로 실무에서 각종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 등을 접하게 되고, 이전보다 높은 급여를 받으며 그만 현실에 안주해 버린 그때가 후회 스럽다. 그때야 아무 것도 모르고 철도 덜 들었고, 실제로 사회생활도 해본 적이 없었으니 별 생각 없이 계속 SES업계에서 일을 했었는데, 결국 설계나 기획 같은 상위 공정은 갑회사에서 다 해먹고 을회사 직원들은 주어진 문서 대로만 단순 작업을 반복하는 업무가 반복 되었다.  상위공정을 위해서 SES업체에서는 그래도 능력을 인정받아 IBM, SonyBank, NEC, DOCOMO, HITACHI 등등 여러 곳에서 불러주었지만 항상 주어진 대로만 작업을 해야하는 업무에 점점 싫증을 느끼게 되었다. 초기에는 그렇지 않았지만 SES 제공업체가 점점 많아지며 그만큼 사건사고도 많아지고, 결국 SES 직원들의 가장 인정 받는 스킬은 '주어진 대로 그대로 똑같이 만들어 내가'가 되어 버렸다. 각종 설정 내용을 갑회사로부터 받아 얼마만큼 실수 없이 시스템을 구축해 내는가가 능력의 지표다. 아무 것도 생각할 필요없이, 사양서 그대로만 해야하는 업무가 계속 되니 결국 피로감을 느끼고 자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이직을 하게 되었다. 거의 15년 가까이 주어진 업무만 하다 보니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못하고 거의 6개월을 버벅거리다 겨우 업무에 적응 하였다. 다행히 업무에 적응한 후로는 승급도 하고 여러모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여담이지만, 그때 팀 내에서는 채용실패한 경우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