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2960s인 게시물 표시

Windows의 기본 VPN설정으로 Netplix접속시 주의사항

목적 외국에서 한국 Nexplix를 보고 싶다. 하지만 유료 VPN은 별로 사용하고 싶지 않다. 수시로 접속 거부를 당하면서 요금을 지불하고 싶지는 않다. 해결책 부모님 댁에 VPN서버를 지원하는 무선공유기를 한대 설치해 드리고 나는 외국에서 VPN으로 접속하여 Nexplix를 감상한다! 상황 공유기에 설정한 VPN에 iPad, Macbook으로 접속하면 문제 없이 한국 Netplix로 접속되는것을 확인했다. Windows11에서는 기본 VPN으로 iptime의 VPN에 접속하면 일본 Netplix로 접속 된다. 원인 처음에는 VPN의 Split Tunneling 문제가 아닐까 싶었다. Windows의 VPN설정에서는 Split Tunneling설정이 보이지 않았으므로 Power Shell에서 확인해 보았지만 Split Tunneling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원인은 DNS서버였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MacBook에서는 VPN접속시, DNS서버도 VPN서버의 DNS가 자동으로 설정되었는데 Windows11에서는 DNS서버가 변경되지 않아 한국 지역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 Solution Windows11의 VPN접속 설정에서 접속시의 DNS서버를 한국의 공유기 IP로 지정을 해주었다. 그리고 IPv6이용설정을 해제하여 IPv4만 이용하도록 설정하니 문제 없이 접속되었다. 다음 문제 미니PC를 한대 구매하여 모든 설정을 마쳤지만 매번 키보드/마우스로 조작하는게 귀찮아 Remote Desktop으로 접속하는 것을 생각했다. 미니PC에 접속할때는 iPad를 이용할 계획인데 현재 찾아본 바로는 Console접속을 지원하는 Application이 없는 듯 하다. RemoteDesktop으로 접속하면 현재 TV에 연결해 놓은 세션은 꺼져버리니 Console로 접속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TeamView를 이용하니 어느정도 문제가 해결되긴 했지만 여기저기 조그마한 문제점들이 있어 고민중.

CISCO스위치 두대로 포트 백업구성

 이전 포스팅을 이전한 내용. 두대의 스위치에서 특정 포트에 대하여 백업포트를 구성하는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메모. 스위치 두대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가정하여 여기서는 포트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기술. 서버측은 이미 bonding설정이 완료 되어 있는 상황 사용하는 vlan id는 임의로 10을 지정 스위치#1의 포트 20번을 active로, 스위치#2의 포트 20번을 standby로 지정 # conf t (config) # int Gi1/0/20 (config- if ) # interface GigabitEthernet1/0/20 (config- if ) #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 if ) # switchport access vlan 10 (config- if ) # int Gi2/0/20 (config- if ) # switchport access vlan 10 (config- if ) #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 if ) # switchport backup interface Gi1/0/20 (config- if ) # switchport backup interface Gi1/0/20 preemption mode forced (config- if ) # exit (config) # exit # write memory 별도 추가 스위치는 없기때문에 spanning-tree설정은 하지 않았다.  

CISCO 2960s 초기화 후 기본 설정

 이전 포스팅을 이전한 내용. 굴러다니던 스위치로 새로운 세그먼트 설정을 할 필요가 생겼기에 이리저리 조사해보고 초기화+기본설정을 했다. 초기화 부터 작업한 적은 처음이므로 메모 로서 남겨둔다. 스위치 초기화 sw> en sw # ter len 0 sw # show run sw # show flash: sw # erase startup-config sw # delete flash:vlan.dat sw # reload ‘ter len0’ 명령어와 show 명령어들은 현재 상태를 확인 하는 차원에서 입력한 명령어다. 필요하다면 출력결과를 백업 해놓는 편이 좋을 수도 있다. 스위치는 전원을 넣은 후 부팅 하면서 ‘startup-config’ 라는 파일로부터 설정을 읽어들인다. 그러므로 ‘erase startup-config’ 명령어로 설정파일을 지워버리면 다음 부팅시에 파일이 없으니 초기화 화면을 표시해 준다.   마지막으로 ‘flash:vlan.dat’ 명령어 인데 vlan 설정들은 스위치 설정과 별도로 vlan.dat 파일에 들어 있으니 이 파일을 지워두지 않으면 스위치 재설정 후 vlan 정보는 초기화 이전의 데이터가 그대로 남아 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초기설정 스위치를 초기화 하고 재부팅을 시키면 아래와 같은 초기설정 화면이 나온다. 호스트명, 관리IP어드레스 등을 입력해준다. Would you like to enter the initial configuration dialog? [yes/no]:yes Would you like to enter basic management setup? [yes/no]:yes Enter host name [Switch]: 2960 S-My-SW Enter enable secret: Enter enable password: Enter virtual terminal password: Configure SNMP Network Management? [no]:no Enter 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