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karabiner인 게시물 표시

Windows의 기본 VPN설정으로 Netplix접속시 주의사항

목적 외국에서 한국 Nexplix를 보고 싶다. 하지만 유료 VPN은 별로 사용하고 싶지 않다. 수시로 접속 거부를 당하면서 요금을 지불하고 싶지는 않다. 해결책 부모님 댁에 VPN서버를 지원하는 무선공유기를 한대 설치해 드리고 나는 외국에서 VPN으로 접속하여 Nexplix를 감상한다! 상황 공유기에 설정한 VPN에 iPad, Macbook으로 접속하면 문제 없이 한국 Netplix로 접속되는것을 확인했다. Windows11에서는 기본 VPN으로 iptime의 VPN에 접속하면 일본 Netplix로 접속 된다. 원인 처음에는 VPN의 Split Tunneling 문제가 아닐까 싶었다. Windows의 VPN설정에서는 Split Tunneling설정이 보이지 않았으므로 Power Shell에서 확인해 보았지만 Split Tunneling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원인은 DNS서버였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MacBook에서는 VPN접속시, DNS서버도 VPN서버의 DNS가 자동으로 설정되었는데 Windows11에서는 DNS서버가 변경되지 않아 한국 지역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 Solution Windows11의 VPN접속 설정에서 접속시의 DNS서버를 한국의 공유기 IP로 지정을 해주었다. 그리고 IPv6이용설정을 해제하여 IPv4만 이용하도록 설정하니 문제 없이 접속되었다. 다음 문제 미니PC를 한대 구매하여 모든 설정을 마쳤지만 매번 키보드/마우스로 조작하는게 귀찮아 Remote Desktop으로 접속하는 것을 생각했다. 미니PC에 접속할때는 iPad를 이용할 계획인데 현재 찾아본 바로는 Console접속을 지원하는 Application이 없는 듯 하다. RemoteDesktop으로 접속하면 현재 TV에 연결해 놓은 세션은 꺼져버리니 Console로 접속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TeamView를 이용하니 어느정도 문제가 해결되긴 했지만 여기저기 조그마한 문제점들이 있어 고민중.

맥북 카라비너 영어/한글/일본어 전환하기

이미지
 현재 Intel 맥북과 M1 맥북에서 4종류의 키보드를 사용중이다. HHK RealForce MD770 Keychron K12 마음 가는대로 키보드를 바꿔가며 사용중인데 매번 설정을 바꾸는게 고역이다. 특히 한글/영어/일본어 간의 변환은 스무즈하게 바꿀 수 없다면 타이핑 하는데 꽤나 고역이다. 그래서 카라비너를 이용한 변환키 설정을 기록한다. 기본 컨셉은 일본어 배열 키보드와 영어 배열 키보드에서 간단하게 각 언어 변환이 가능할 것. 일본어 키보드의 경우는 스페이스바 왼쪽의 키를 한번 누르면 영어, 스페이스바 오른쪽의 키를 누르면 일본어, 연속으로 두번 누르면 한글로 바뀌는 설정이고, 영어 배열 키보드에서는 왼쪽쉬프트+스페이스바가 영어, 오른쪽쉬프트+스페이스가 일본어, 오른쪽 커맨드키를 두번 누르면 한글이 되는 설정이다. Keychron K12(영어배열) + Macbook M1 카라비너 설정 / Simple Modificiations   카라비너 설정 / Complex modifications { "title" : "한글전환 커스텀 For M1 " , "rules" : [ { "description" : "영어 키보드 - 좌측Shift+스페이스:영어, 우측Shift+스페이스:히라가나, 우측 커맨드키 더블클릭:한글" , "manipulators" : [ { "type" : "basic" , "from" : { "key_code" : "spacebar" , "modifiers" : { "mandatory"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