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의 기본 VPN설정으로 Netplix접속시 주의사항

목적 외국에서 한국 Nexplix를 보고 싶다. 하지만 유료 VPN은 별로 사용하고 싶지 않다. 수시로 접속 거부를 당하면서 요금을 지불하고 싶지는 않다. 해결책 부모님 댁에 VPN서버를 지원하는 무선공유기를 한대 설치해 드리고 나는 외국에서 VPN으로 접속하여 Nexplix를 감상한다! 상황 공유기에 설정한 VPN에 iPad, Macbook으로 접속하면 문제 없이 한국 Netplix로 접속되는것을 확인했다. Windows11에서는 기본 VPN으로 iptime의 VPN에 접속하면 일본 Netplix로 접속 된다. 원인 처음에는 VPN의 Split Tunneling 문제가 아닐까 싶었다. Windows의 VPN설정에서는 Split Tunneling설정이 보이지 않았으므로 Power Shell에서 확인해 보았지만 Split Tunneling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원인은 DNS서버였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MacBook에서는 VPN접속시, DNS서버도 VPN서버의 DNS가 자동으로 설정되었는데 Windows11에서는 DNS서버가 변경되지 않아 한국 지역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 Solution Windows11의 VPN접속 설정에서 접속시의 DNS서버를 한국의 공유기 IP로 지정을 해주었다. 그리고 IPv6이용설정을 해제하여 IPv4만 이용하도록 설정하니 문제 없이 접속되었다. 다음 문제 미니PC를 한대 구매하여 모든 설정을 마쳤지만 매번 키보드/마우스로 조작하는게 귀찮아 Remote Desktop으로 접속하는 것을 생각했다. 미니PC에 접속할때는 iPad를 이용할 계획인데 현재 찾아본 바로는 Console접속을 지원하는 Application이 없는 듯 하다. RemoteDesktop으로 접속하면 현재 TV에 연결해 놓은 세션은 꺼져버리니 Console로 접속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TeamView를 이용하니 어느정도 문제가 해결되긴 했지만 여기저기 조그마한 문제점들이 있어 고민중.

curl 명령어 옵션

# 결과를 지정한 이름으로 파일에 저장
$ curl -o response.txt https://www.example.net
# 결과를 파일이름으로 저장, index.html 이 저장됨 
$ curl -O https://www.example.net/index.html
# SSL증명서 에러 무시
$ curl -k https://www.example.net
# 진척상황을 표시 하지 않기, 에러도 표시되지 않음
$ curl -s -o response.txt http://www.example.net
# 에러메시지는 보고 싶을때
$ curl -sS -o response.txt http://www.example.net
# progress bar로 진척상황표시
$ curl -# -O http://www.example.net/index.html
# proxy이용시
$ curl -x <proxyip>:<port> --proxy-user <username>:<password> http://www.example.net
$ curl -x <username>:<password>@<proxyip>:<port> http://www.example.net
# 301/302등의 redirect를 자동인식
$ curl -L http://www.example.net
# http의 메소드를 지정
$ curl -X [PUT|GET|POST] http://www.example.net
# parameter를 POST로 송신
$ curl -w '\n' 'http://www.example.net/posturl' -X POST --data 'name=myname&mode=create'
# status code만 출력
$ curl -sS -w '%{http_code}\n' http://www.example.net 
# http의 response header를 확인
# -I 는 헤더만, -i는 body도 출력
$ curl -I http://www.example.net
# http 자세한 정보를 볼때, request header를 확인 할 때 필요
$ curl -v http://www.example.net
# http의 packet data까지 확인이 필요할때
# --trace는 binary, --trace-ascii는 텍스트, --trace-time은 시간표시
$ curl -sS http://www.example.net -X POST -F "test=data" --trace.log trace.log -o /dev/null
$ curl -sS http://www.example.net -X POST -v -F "test=data" --trace-ascii trace-ascii.log -o /dev/null
# reqeust의 결과만 확인
$ curl -s http://www.example.net -o /dev/null -w '%{http_code}¥n'
# DDoS 부하시험
$ for((;;)) { curl -v --header "Connection: keep-alive" "http://www.example.net";}
# 전송속도 제한
# k, m, g등을 이용
$ curl --limit-rate [10k|1m,1g] http://www.example.net 
# 수신한 쿠키를 저장
$ curl -c cookie.txt http://www.example.net
# 저장한 쿠키를 송신
$ curl -b cookie.txt http://www.example.net 
# 최대접속시간제한을 설정
$ curl --connect-timeout 600 http://www.example.net 
# User-Agent를 지정
$ curl -s -w '%{http_code}\n' https://www.amazon.co.jp/dp/B00JEYPPOE/ -o /dev/null
503
$ curl -s -w '%{http_code}\n' https://www.amazon.co.jp/dp/B00JEYPPOE/ -o /dev/null -A ''
200
# Header를 지정
$ curl -H "Host: www.example.net" -k https://<IP address> 

쓸일이 있을까 ?

# 범위지정
$ curl 'http://{one,two,three}.example.net'
$ curl 'http://[1-3].example.net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ISCO 2960s 초기화 후 기본 설정

맥북 카라비너 영어/한글/일본어 전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