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의 기본 VPN설정으로 Netplix접속시 주의사항

목적 외국에서 한국 Nexplix를 보고 싶다. 하지만 유료 VPN은 별로 사용하고 싶지 않다. 수시로 접속 거부를 당하면서 요금을 지불하고 싶지는 않다. 해결책 부모님 댁에 VPN서버를 지원하는 무선공유기를 한대 설치해 드리고 나는 외국에서 VPN으로 접속하여 Nexplix를 감상한다! 상황 공유기에 설정한 VPN에 iPad, Macbook으로 접속하면 문제 없이 한국 Netplix로 접속되는것을 확인했다. Windows11에서는 기본 VPN으로 iptime의 VPN에 접속하면 일본 Netplix로 접속 된다. 원인 처음에는 VPN의 Split Tunneling 문제가 아닐까 싶었다. Windows의 VPN설정에서는 Split Tunneling설정이 보이지 않았으므로 Power Shell에서 확인해 보았지만 Split Tunneling은 설정되어 있지 않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원인은 DNS서버였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MacBook에서는 VPN접속시, DNS서버도 VPN서버의 DNS가 자동으로 설정되었는데 Windows11에서는 DNS서버가 변경되지 않아 한국 지역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 Solution Windows11의 VPN접속 설정에서 접속시의 DNS서버를 한국의 공유기 IP로 지정을 해주었다. 그리고 IPv6이용설정을 해제하여 IPv4만 이용하도록 설정하니 문제 없이 접속되었다. 다음 문제 미니PC를 한대 구매하여 모든 설정을 마쳤지만 매번 키보드/마우스로 조작하는게 귀찮아 Remote Desktop으로 접속하는 것을 생각했다. 미니PC에 접속할때는 iPad를 이용할 계획인데 현재 찾아본 바로는 Console접속을 지원하는 Application이 없는 듯 하다. RemoteDesktop으로 접속하면 현재 TV에 연결해 놓은 세션은 꺼져버리니 Console로 접속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TeamView를 이용하니 어느정도 문제가 해결되긴 했지만 여기저기 조그마한 문제점들이 있어 고민중.

sftp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ls 결과에 대해

sftp로 파일을 전송하다가

조금 이상한 일을 겪었다. sftp로 서버에 접속한 후 파일을 전송하고 디렉토리를 “ls -l” 로 확인했을 때와 디렉토리내의 파일을 직접 “ls -l”로 확인했을때, 파일의 timestamp가 틀리게 나오는 걸 확인했다. sftp 클라이언트와 sftp 서버 쪽 timezone을 확인 해 본 결과 sftp 클라이언트는 timezone이 Asia/Tokyo 였고, sftp 서버쪽의 timezone은 UTC로 설정되어 있는게 이유가 아닐까 싶어 확인을 해 보았다.

 

timezone 변경과 확인

먼저 서버쪽에 ssh 로그인 후 timedatectl 로 확인해 본결과 역시나 UTC로 설정되어 있었다. timedatectl set-timezone Asia/Tokyo 명령어로 서버쪽 timezone도 클라이언트와 동일하게 설정해 주니 ls -l 로 디렉토리와 파일을 지정했을때 timestamp 가 엉뚱하게 나오는 현상은 해결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해결 되었는데 도대체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지 이해가 안간다. 디렉토리와 파일 모두 timestamp 가 동일하게 나온다면 그러려니 하겠는데 디렉토리와 파일에 대해 ls -l 을 실행한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는건 조금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아도 특별히 보고된 issue 같은 건 없는 듯 하니… 소스 파일을 직접 검색해 보는 수 밖에 없을려나.

 

sftp 소스 분석

sftp 의 소스 파일은 어디에서 받을 수 있을까. 검색 결과 https://www.openssh.com/ 에서 다운 받을 수 있었다. 미러 리스트로부터 적당한 링크를 클릭하여 wget 으로 openssh-8.0p1.tar.gz 파일을 다운 받아 압축 해제를 하고 소스를 확인 하였다. 관련 있는 함수는 sftp-common.c 파일의 ls_file()과 sftp-client.c의 do_readdir() 함수 정도 일려나.

do_lsreaddir(struct sftp_conn *conn, const char *path, int print_flag,
     SFTP_DIRENT ***dir)
 {
   struct sshbuf *msg;
   u_int count, id, i, expected_id, ents = 0;
   size_t handle_len;
   u_char type, *handle;
   int status = SSH2_FX_FAILURE;
   int r;
... 생략 ...

sftp-client.c 의 do_readdir()은 do_lsreaddir()을 불러오고 있어서 do_lsreaddir()을 확인해 보았지만 특별히 눈에 띄이는 점은 없다. 다음으로 sftp-common.c 파일을 확인 해보았다.

ls_file(const char *name, const struct stat *st, int remote, int si_units)
{
   int ulen, glen, sz = 0;
   struct tm *ltime = localtime(&st->st_mtime);
   const char *user, *group;
   char buf[1024], lc[8], mode[11+1], tbuf[12+1], ubuf[11+1], gbuf[11+1];
   char sbuf[FMT_SCALED_STRSIZE];
   time_t now;
... 생략 ...

헐…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파일의 stat로부터 localtime 을 적용시키고 있는 듯 하다. 그렇다면 설명이 된다.ls -l로 디렉토리를 지정했을 경우에는 ls 의 결과를 그대로 받아와서 출력하지만 파일을 지정했을 경우엔 localtime 으로 변경후 반환해 주는 듯 하다. 할려면 똑같이 해줬으면 좋겠는데… 어느쪽이 맞냐고 한다면… 서버 쪽의 timestamp 를 그대로 반환해 주었으면 좋겠는데 말야…

 

다음에 시간 나면 소스를 수정하여 컴파일 한 후에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 해보고 싶다. 시간에 여유가 생겨서 해볼 수 있다면 다시 결과를 남기도록 하겠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ISCO 2960s 초기화 후 기본 설정

curl 명령어 옵션

맥북 카라비너 영어/한글/일본어 전환하기